[펜화 기행] 경복궁 아미산(景福宮 峨嵋山) 굴뚝
건축물이 국보나 보물로 지정받는 것은 무척 까다로운 일입니다. 따라서 널리 알려진 건물 중에도 보물로 지정 되지 못한 것이 많습니다.
그런데 자그마한 굴뚝으로서 보물로 지정된 것이 있습니다. 경복궁 자경전의 십장생 굴뚝과 교태전(交泰殿)의 아미산(峨嵋山) 굴뚝입니다. 다른 나라에는 유례가 없으니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굴뚝이라 할 것입니다.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에는 경회루 연못을 팔 때 나온 흙을 후원에 쌓아 아름다운 동산이 있습니다. 이 화초동산에 네 개의 아름다운 굴뚝이 우뚝 솟아 있으니 이것이 바로 보물 811호인 아미산 굴뚝입니다.
붉은 벽돌을 쌓아 만든 육각형의 굴뚝에 기와 지붕을 얹고 처마에는 서까래까지 만들어 놓았습니다.
각 면마다 사각형 화면을 만들고 매화나 소나무 등의 형태를 흙으로 구워서 붙여 놓았습니다. 나머지 여백은 백색 삼화토로 채워 넣었구요. 그 아래위론 봉황과 불가사리 등의 동물상을 배치하여 귀신을 쫓고 화재를 예방하는 역할을 맡겨 놓았습니다.
굴뚝도 이쯤이면 세계적 작품이 됩니다. 만약 멋 없는 연통이 네 개씩이나 늘어서 있었다면 교태전 뒤뜰의 풍경은 어떠했을까요.
건축가들이 살기 편한 집보다 아름다운 집에 더 높은 점수를 주는 이유는 좋은 환경이 그만큼 인간의 심성을 곱게 만들어 주기 때문일 것입니다.
글 •그림 김영택 (펜화가)
* 펜화는 자료가 없습니다.
경복궁 아미산 굴뚝
지정번호: 보물 제811호(1985년 1월 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
제작시기: 조선 태조 3년, 고종 4년 (추정)
비고: 6기
교태전은 왕비의 중궁전(中宮殿)으로 태조 3년(1394년)에 창건되었다. 그 후 명종 8년(1553년)에 소실되어 1555년에 재건되었으며,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으로 다시 소실되어 고종 4년(1867년)에 재건되었다. 이후 고종 13년(1876년) 또 다시 소실되었고 고종 25년(1888년)에 복구되었다. 원래의 교태전은 일제강점기인 1918년 창덕궁으로 옮겨 현재의 창덕궁 대조전(大造殿)이 되었고, 현재의 교태전은 최근에 복원한 것이지만, 굴뚝은 고종 당시 경복궁을 재건할 때의 것이다.
아미산은 교태전 일곽 뒤뜰에 경회루의 연못을 판 흙을 쌓아 만든 작은 산(假山)이다. 아미산에는 두벌대의 장대석 석축이 네 층으로 쌓였고, 그 위에 괴상하게 생긴 돌을 담은 석분(石盆)과 물을 담는 돌그릇(石池) 등 석조물이 배치되었는데, 수석 1기는 1단에, 석분•석지는 1단•2단•3단에 있고, 굴뚝은 3단에 있다. 굴뚝 3기는 3단에 나란히 있고, 나머지 한 기는 동쪽 조금 뒤편에 있으며, 주위에는 화초들이 심어져 후원이 조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는 4기의 육각형 평면을 한 굴뚝들이다. 굴뚝들은 화강석 지대석 위에 벽돌로 30단 또는 31단으로 쌓였고, 육각의 각 면에는 당초무늬•학•박쥐•봉황•나티•소나무•매화•대나무•국화•불로초•바위•새•사슴•나비•해태•불가사리 등의 무늬가 조화롭게 배치되었다. 각 무늬는 조형전(造形塼)을 구워 배열하였고, 그 사이에는 회(灰)를 발라 화면을 구성하였다.
육각의 각 면은 네 가지 종류의 무늬로 구성되었는데, 굴뚝 제일 아랫부분은 벽사상으로 불가사리를 부조한 사각형의 벽돌을 끼웠고, 그 위의 직사각형 회벽에 십장생•사군자 또는 만자문(卍字文)을 조각했으며, 그 위에 다시 봉황과 귀면 등이 부조된 네모 반듯한 벽돌을 끼웠고, 윗부분은 회벽에 당초문(唐草文)으로 구성하였다.
이들 무늬 위로는 목조 건축물의 소로와 창방•첨차 형태로 만든 벽돌을 쌓고 기와지붕을 이었으며, 정상부에는 점토로 만든 연가(煙家)를 각 4기씩 두어 연기가 빠지도록 하였다. 기능은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이지만, 그 형태나 위치가 정원과 어우러져 뛰어난 조형미를 이루고 있다.
경복궁 아미산의 굴뚝(景福宮峨嵋山-)은 경복궁 교태전(交泰殿)의 구들과 연결된 굴뚝이다. 1985년 1월 8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11호로 지정되었다.
김영택 화백
세종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국가브랜드위원회 선정 한국의 대표작가.
한국펜화가협회 초대회장.
1945년 인천 출생
1972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1993년 국제상표센터(International trademark Center)에서 전 세계 그래픽 디자이너 54인에게 수여하는 '디자인 엠베서더(Design Ambassador) 칭호를 받음.
1994년 제 1회 벨기에 비엔날레 초청 작가.
2000년 국제 로터리 3650지구 '총재월신'에 펜화기행 연재.
2002년에서 2008년까지 중앙일보 ‘김영택의 펜화기행’,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중앙일보 ‘김영택의 펜화로 본 세계건축문화재’등 다양한 작품들을 연재.
2002년 통도사 주요 건축문화재 펜화 기록 작업.
2004년 인사동 학고재 첫 전시회 '펜화 기행 Ⅰ'전.
김영택 화백이 작품집 『펜화기행』을 출간했다(지식의숲).
경복궁·송광사·병산서원 등 전국의 문화유산 60여 점을 담았다.
· 관련 자료
· 경복궁 아미산 굴뚝 - | 문화재청 | 문화재검색
· 경복궁 아미산굴뚝(보물811호)과 자경전 십장생굴뚝(보물810호)
· 山寺愛人 : 경복궁 교태전 아미산굴뚝 - 산사애인 - 이글루스
· 경복궁 아미산 굴뚝 - | 문화재청 | 문화재검색
· 경복궁 아미산굴뚝(보물811호)과 자경전 십장생굴뚝(보물810호)
· 山寺愛人 : 경복궁 교태전 아미산굴뚝 - 산사애인 - 이글루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성불하십시요.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