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봉사 대웅전 삼층목탑
세계 최고의 목조건축 기술을 지닌 우리 조상들은 요즈음 건물 20층 높이와 같은 황룡사 9층 대탑을 비롯한 여러 목탑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많은 전란으로 모두 불타 버리고 임진왜란 뒤 중건한 법주사 팔상전(八相殿)과 화순 쌍봉사(雙峯寺) 삼층 목탑만 남았습니다.
5층탑인 팔상전은 지붕의 넓이가 위로 올라가면서 급하게 줄어 경주 남산 바위에 새겨진 마애탑이나 우리 선조가 일본에 세운 목탑과는 사뭇 달라 보입니다. 이에 비해 쌍봉사 3층탑은 우리 탑다운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쌍봉사는 신라 경문왕 때 도윤(798~886) 스님이 창건한 큰 절입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인조 6년(1628)에 중건했습니다. 목탑은 1690년에 중건하고 1724년에 큰 수리를 했습니다. 대웅전으로 이용하던 중 1984년 화재로 전소됩니다. 이때 동네 농부가 불길 속에서 불상 3구를 구해낸 이야기는 전설이 되었습니다. 장정 4명이 간신히 들 수 있다는 석가모니불을 아들과 둘이서 업어 낼 수 있었던 것은 '부처님의 가호'가 있었기 때문이랍니다. 그 덕에 협시불인 가섭존자의 아름다운 미소를 볼 수 있습니다.
다행히 62년 해체 수리 때 만든 실측도가 있어 86년 다시 지을 수 있었습니다. 해체 때 발견한 대로 3층 지붕을 팔작지붕에서 사모지붕으로 바꾸고 상륜부를 올려 더욱 탑다워졌습니다. 그림은 10년대의 사진을 바탕으로 그렸습니다. 가난하고 힘들었던 때의 모습입니다. 절 마당이 온통 밭이고 논입니다. 초가도 보입니다.
우리 목탑이 살아있는 원형
중국을 '전탑(벽돌로 만든 탑)의 나라', 일본을 '목탑의 나라'라 하고 한국을 '석탑의 나라'라 합니다. 각국마다 탑을 만드는 데 주로 쓰인 재료가 달랐기 때문 입니다. 좋은 목재가 풍부한 일본에서는 오래된 목탑이 51개나 된답니다. 그럼 우리나라에는 목탑이 없었을까요?
세계 최대 목조 건물인 일본 나라 도다이지(東大寺) 대불전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호류지(法隆寺;법륭사) 5층 탑을 세운 것이 우리 선조 입니다. 그 기술로 높이 80 m 세계 최대인 황룡사 9층 대탑 등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전란 등으로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법주사 팔상전이 있으나 우리 본래의 탑과는 모양이 다릅니다.
우리 목탑의 원형이 살아있는 탑이 화순 쌍봉사에 있습니다. 저는 이 목탑이 좋아서 자주 찾아갑니다. 산골 길을 돌아 밭두렁 위로 삼층탑의 상륜부(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불탑의 꼭대기 부분)와 지붕이 보이면 얼마나 반가운지 가슴이 콩닥 거립니다.
대웅전으로 이용하던 목탑은 1984년 화재로 소실돼 보물 제 163호 타이틀은 반납했습니다. 86년 복원하면서 삼층 지붕을 사모 지붕으로 만들고 상륨부를 올려 탑다워졌습니다. 그 전에는 팔작지붕이었거든요.
국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부도도 있습니다. 국보 제 57호로 쌍봉사를 세운 철감선사 도윤(798 ~ 886) 스님의 부도 입니다.
화순군 이양에서 쌍봉마을을 지나 보성 쪽으로 난 산길을 몇 굽이 돌면 개울가 논 위로 삼층목탑이 우뚝 서서 길손을 반깁니다.
쌍봉사 대웅전이기도 한 목탑은 법주사 팔상전과 함께 임진왜란 후 중건한 목탑인데, 1984년 화재로 전소됩니다. 86년 다시 세웠는데 옛것만 못하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옛 건물의 3층 지붕이 팔작지붕이어서 조선 한옥의 느낌이 강하였으나 새 탑은 62년 수리 때 확인했던 대로 사모지붕으로 바꾸고 상륜부를 얹어놓아 탑다워졌습니다.
법주사 팔상전 지붕크기가 위로 올라 가면서 많이 줄어드는데 비해 이 삼층목탑은 체감율이 적어서 일본에 남아있는 우리 목탑의 원형을 보는 듯합니다.
신라 경문왕 때 철감(澈鑑) 선사가 창건하여 구산선문의 하나였던 쌍봉사는 28년에 나한상과 인왕상 등 4백78구의 각종 불상을 장성의 백양사로 보내야할만큼 황폐해집니다.
그러나 지장전에는 뛰어난 솜씨로 조각된 지장보살과 시왕상, 인왕상 등이 두 줄로 늘어설 만큼 아직 많이 남아있습니다.
절 뒤편 언덕 위에는 한국 부도탑 중 최고로 손꼽히는 국보 제57호 철감선사 부도와 보물 제170호로 지정된 부도비가 있어 답사의 즐거움을 더해줍니다.
김영택 화백
김영택 화백
세종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국가브랜드위원회 선정 한국의 대표작가.
한국펜화가협회 초대회장.
1945년 인천 출생
1972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1993년 국제상표센터(International trademark Center)에서 전 세계 그래픽 디자이너 54인에게 수여하는 '디자인 엠베서더(Design Ambassador) 칭호를 받음.
1994년 제 1회 벨기에 비엔날레 초청 작가.
2000년 국제 로터리 3650지구 '총재월신'에 펜화기행 연재.
2002년에서 2008년까지 중앙일보 ‘김영택의 펜화기행’,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중앙일보 ‘김영택의 펜화로 본 세계건축문화재’등 다양한 작품들을 연재.
2002년 통도사 주요 건축문화재 펜화 기록 작업.
2004년 인사동 학고재 첫 전시회 '펜화 기행 Ⅰ'전.
김영택 화백이 작품집 『펜화기행』을 출간했다(지식의숲).
경복궁·송광사·병산서원 등 전국의 문화유산 60여 점을 담았다.
· 관련 자료
· 쌍봉사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229
+82 61-372-3765
불교 사원
· 찾아가는 길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 → 제2순환도로 소태IC → 29번 국도 화순 방면 → 화순읍 → 쌍봉사
· [김영택의 펜화기행] 전라남도 화순 쌍봉사 - TV조선 뉴스4
기사에서 동영상으로 김영택 화백과 앵커의 대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
· 쌍봉사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229
+82 61-372-3765
불교 사원
· 찾아가는 길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 → 제2순환도로 소태IC → 29번 국도 화순 방면 → 화순읍 → 쌍봉사
· [김영택의 펜화기행] 전라남도 화순 쌍봉사 - TV조선 뉴스4
기사에서 동영상으로 김영택 화백과 앵커의 대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성불하십시요.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