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과 귀는 원래 자취가 없거늘 누가 원만히 깨칠 것인가
나옹 왕사의 이름은 원혜(元慧), 법명은 혜근(慧勤), 법호는 나옹(懶翁), 속성은 아(牙)씨, 평생 주석하신 당(堂)은 강월헌(江月軒)이다.
왕사는 나이 20세에 친구의 죽음을 보고 무상한 마음을 가눌 길 없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면서 어른들에게 “죽으면 어디로 갑니까”하고 묻고 다녔다.
하지만 모두들 모른다고 대답했다. 마음의 답답함을 풀길이 없자 공덕산 묘적암에 주석하고 계신 요연선사(了然禪師)에게 출가했다.
요연 선사는 물었다.“무엇 때문에 중이 되려 하느냐?.” 이에 왕사는 “삼계(三界)를 뛰어넘어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서입니다”고 말하자 요연 선사는 출가를 허락했다.
그 뒤 왕사는 운수납자로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다가 25세 때 회암사로 들어가 용맹정진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일본 스님 석옹화상(石翁和尙)이 승당에 내려와 선상을 치면서“대중은 이 소리를 듣는가”라고 크게 소리를 쳤다.
아무도 이에 대답하는 사람이 없었다. 왕사는 홀연히 방에서 일어나 대답하였다. “선불장 안에 앉아 정신 차리고 자세히 보라(選佛場中坐 惺惺着眼看), 보고 듣는 것이 다른 물건이 아니요 원래 그것은 옛 주인이다(見聞非他物 元是舊主人).”
용맹정진 4년 왕사께서 29세 때 겨울, 눈이 쌓인 뜰을 거닐다가 때 이른 매화꽃(梅花)을 보고 대오(大悟)하셨다.
· 원문보기
【오도송(悟道頌)으로 보는 한국禪】 무산 스님 - 나옹 왕사의 無聞(무문)
無聞(무문)
眼耳元來自沒
(안이원래자몰종)
箇中誰得悟圓通
(개중수득오원통)
空非相處飜身轉
(공비상처번신전)
犬吠驢鳴盡豁通
(견폐노명진활통)
눈과 귀는 원래 자취가 없거늘,
누가 그 가운데서 원만히 깨칠 것인가.
텅 비어 형상 없는 곳에서 몸을 굴리면,
개 짖음과 나귀 울음이 모두 도(道)를 깨침이네.
이후 왕사께서는 중국 연도(燕都)에 들어가 법원사(法源寺)에 주석하고 있는 지공 선사(指空禪師)를 찾았다.
지공이 물었다.“그대는 어디서 왔는가, 누가 그대를 여기 오라하던가.”
“고려에서 혜근이 스스로 왔습니다.” 지공은 허락했다.
이후 왕사는 지공 문하에서 수참(修參)하기 시작했다. 어느 날 지공은 왕사에게“하늘의 해와 땅의 조사를 모두 다 쳐부수어, 그 경지에 이르면 그것은 무엇인가” 물었다.
왕사는 “안팎이 다 붉다”면서 대각(大覺)을 이루게 되었다.
왕사의 입에서 금구(金口 : 부처님의 입이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황금이나 금강에 비유한 말)가 흘러 나왔다.
大圓(대원)
包塞虛空絶影形
(포색허공절영형)
能含萬像體常淸
(능함만상체상청)
目前眞景誰能量
(목전진경수능량)
雲卷靑天秋月明
(운권청천추월명)
허공을 꽉 싸안은 그 모습 뛰어나,
온갖 형상 머금었어도 몸은 항상 깨끗하다.
눈앞의 참 경개(景槪)를 누가 능히 헤아리니,
구름 걷힌 푸른 하늘에 가을 달은 밝아라.
이와 같이 왕사의 대기대용(大機大用)적 선(禪)은 화두에만 전몰(全沒)하는 것이 아니라 화두를 통하여 성성(惺惺)해지므로 개오(開悟)됨을 말씀하였다.
또한 왕사께서는 수행 방법에 있어서 염불도 매우 중요시하였다. 염불을 미타일념으로 담연(湛然)적 청정심을 계속해 나가는 것이 삼악도를 벗어나는 정각의 지름길로 보았다.
아미타불의 서방정토를 별개로 인정하지 않고 선가의 입장에서 해석하여 정토 자체를 마음에서 구해야 한다고 하였다.
왕사께서는 이론에 치중하여 관념적 성격이 강한 화엄의 법계연기사상(法界緣起思想)을 실천적 행동적으로 개혁 성성심(惺惺心)적 개오(開悟)인 시심마(是甚麽) 선(禪)으로 발전시켰다. 왕사의 대기대용의 시심마 선은 오늘날에도 크게 활용되고 선원의 청풍이 되고 있다. 왕사께서는 회암사에서 고려 우왕 3년(1377)에 입적하였다.
* 시심마(是甚/什麽)란 ‘이것이 무엇인가?’ 또는 간단히 ‘이게 뭐야’라는 뜻이다. ‘설봉심마(雪峰甚麽) 공안’에서 시작된 것으로 《벽암록》 51칙에 나온다.
· 무산 스님은...
무산 스님(撫山 스님, 경주 해회선원 회주)은 1943년 경주에서 태어나 13세에 지리산 백운암 법장스님에게 출가했다.
춘성ㆍ화엄ㆍ효당 스님에게 선과 다도를 수학한 스님은, 한국다선학회와 천연염색학회를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역대고승의 다시>, <천연염색법 개론> 등 10여권이 있다.
관련자료
· 시심마(是甚麽) “이것이 무엇인가(이뭣꼬)?”
· 나옹왕사반송유적지 - 영덕문화관광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성불하십시요.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