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 면앙정(俛仰亭)
면앙정(俛仰亭)
소재 : 전남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 402
면앙정(俛仰亭)은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에 있다. 이 정자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가사문학의 대가인 면안정 송순(俛仰亭 宋純, 1493~1582)이 고향마을 뒷산 제월봉(霽月峯) 언덕 위에 세운 것이다.
정자의 이름이면서 그의 호이기도 한 면앙정은 '땅을 굽어보고 하늘을 우러러 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즉 아무런 사심이나 꾸밈이 없는 담담한 경지를 말하는데, 그 제호에서 당당한 선비의 기개를 엿볼 수 있다.
송순이 처음 이 정자를 지은 것은 나이 41세 되던 1533년(중종 28)이었다. 젊어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던 그는 김안로 일파가 세력을 잡자 고향으로 돌아와 뒷산에 소박한 정자를 짓고 시를 읊으며 지냈다. 이곳에서 3년여를 은거하던 송순은 김안로 일파가 실각하자 다시 조정에 나아가 몇 차례의 부침을 겪으면서도 77세에는 의정부 우참찬 직에 올랐다. 마침내 관직을 은퇴한 그는 91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온전히 면앙정에서 머물며 많은 가사를 남겼다.
특히 면앙정은 김인후를 비롯해 임억령, 고경명, 정철, 임제, 양산보, 김성원, 기대승, 박순 등이 그에게 시문을 배웠던 곳으로 '호남 가단(歌壇)'의 요람이다.
면앙정으로 오르는 길은 꽤 가파르다. 잔뜩 우거진 대숲사이 비탈에는 댓잎이 푹신하게 떨어져 쌓이고, 그 사이로 알맞은 너비의 돌계단이 이어진다. 계단을 다 오르면 시야가 탁 트이면서 제법 너른 평지가 나서고 그 언덕 끝에 수수한 정자가 서 있다.
원래 면앙정 터에서는 곽씨가 살았다고 전한다. 곽씨가 어느 날 금어(金魚)와 옥대(玉帶)를 두른 선비들이 모여드는 꿈을 꾸고 이 터에서 태어난 자기 아들이 벼슬을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뜻을 이루지 못한 채 가산만 탕진하고 이사를 했다. 송순이 그 터를 매입해 정자를 지은 뒤부터 선비와 시인 묵객들이 모여들었으니, 곽씨가 해몽은 잘못했어도 꿈은 제대로 꾸었던 셈이다.
정내에는 퇴계 이황, 하서 김인후, 고봉 기대승, 백호 임제, 석천 임억령 등의 글이 판각되어 걸려 있으며, 그 중에 ‘면앙정’ 세 글자를 머리에 넣어서 지은 송순의 「면앙정 삼언가(俛仰亭 三言歌)」가 객들의 시선을 잡아끈다.
면앙정은 간소한 양식의 건물이지만 역사적 가치가 커서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조선 중종 28년(1533)에 송순이 중추부사(中樞府事) 대사헌(大司憲) 관직을 그만두고 향리(鄕里)인 이곳에 와서 정자를 짓고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비롯하여 강호제현(江湖諸賢)들과 학문을 논하며 후학을 길러내던 유서 깊은 곳이기 때문이다.
처음에 있던 정자는 1597년(선조 30) 임진왜란으로 파괴되었고, 1654년(효종 5)에 후손들이 다시 지었다. 현재의 건물은 수 차 보수를 한 것이며, 1979년 지붕 번와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송순이 면앙정의 뜻을 삼언시로 지어 풀어 놓은 삼언가.
俛有地 仰有天
亭其中 興浩然
招風月 揖山川
扶藜杖 送百年
굽어보면 땅이요 우러러보면 하늘이라
그 가운데 정자 지으니 흥겹지 않겠나
풍월도 맞이하고 산천마저 둘렀으니까
명아주 지팡이 짚고 백 년을 보내리라
글 출처: 호남기록문화유산
김영택 화백
세종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국가브랜드위원회 선정 한국의 대표작가.
한국펜화가협회 초대회장.
1945년 인천 출생
1972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1993년 국제상표센터(International trademark Center)에서 전 세계 그래픽 디자이너 54인에게 수여하는 '디자인 엠베서더(Design Ambassador) 칭호를 받음.
1994년 제 1회 벨기에 비엔날레 초청 작가.
2000년 국제 로터리 3650지구 '총재월신'에 펜화기행 연재.
2002년에서 2008년까지 중앙일보 ‘김영택의 펜화기행’,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중앙일보 ‘김영택의 펜화로 본 세계건축문화재’등 다양한 작품들을 연재.
2002년 통도사 주요 건축문화재 펜화 기록 작업.
2004년 인사동 학고재 첫 전시회 '펜화 기행 Ⅰ'전.
김영택 화백이 작품집 『펜화기행』을 출간했다(지식의숲).
경복궁·송광사·병산서원 등 전국의 문화유산 60여 점을 담았다.
· 관련 자료
· 호남기록문화유산 > 누정목판기록자료> 담양 > 면앙정
· 호남기록문화유산 > 누정목판기록자료> 담양 > 면앙정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성불하십시요. _()_